되다 돼다 구분하기
일상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헷갈리는 표현 '되다'와 '돼다'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. 둘 다 발음이 비슷하고 어느 쪽으로 발음해도 다 알아들어서 들을 때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되다가 맞는 표현으로 쓰는 경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. 되다 돼다 구분하기 맞는 표현은 '되다'입니다. 되다가 되어가 되면 준말이 '돼'입니다. 한국어 어문 규범 : 어간 모음 'ㅚ'뒤에 '-어'가 결합하여 'ㅙ'로 줄어드는 경우, 'ㅙ'로 적는다. 되다의 어간은 '돼'입니다. 되 + 어 = 되어 = 돼 되 + 었 = 되었 = 됐 되 + 어라 = 되어라 = 돼라 예시) 모든 게 생각대로 돼(되어) 간다. 이렇게 만나게 돼서(되어서) 반갑다. 어느덧 가을이 됐다(되었다) ※ '되'와 '돼'가 헷갈리는 경우에는 '어'..